아마존 액셀러레이트 2025 세션 총정리!

9.21.25. 91호 발행
한 주 동안 아마존 셀러가 눈여겨보면 좋을 소식과 핵심 내용들을 모아 전달해 드립니다. 이번 주에는 이런 일들이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대표님! 월간 보표 입니다!
9월 2번째 주 91호 뉴스레터
by 보표

📌오늘의 목차

  1. 클릭을 구매로 전환! 신규 ASIN을 위한 성장 전략
    👉 신규 ASIN 런칭 시 가장 큰 실수는 무엇일까요?

  2. 데이터 기반 성장 전략으로 아마존 광고 ROI 극대화하기
    👉 핵심은 ‘현명한 지출’에 있습니다!

  3. 재고가 너무 늦게 도착했어요! 4분기 대목
    👉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재고관리 전략

  4. 매출 88%가 해외에서? 아마존 글로벌 셀링
    👉 A to Z 완벽 가이드

  5. 매출 2배 올리는 ‘멀티채널’, 복사-붙여넣기만 하다 지치셨나요?
    👉 클릭 한 번으로 아마존 상품을 월마트, 쇼피파이, 이베이에 동시 등록!

  6. 아마존 액셀러레이트 2025 종합 후기!
    👉 셀러킹덤에 업로드 되어있어요!

  7. 시애틀의 잡상인? 그러나 뜨거웠던 나의 하루
    👉 누구에게나 시작은 있다. 중요한 건…

  8. “왜 저 제품은 잘 팔리고 내 제품은 안팔릴까?”
    👉 그 정답을 찾는 가장 빠른 방법

  9. “죽는 날까지 열여덟 살”
    👉 보표의 1% 북클럽! 오늘의 페이지!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무라카미 하루키'>

🟣1. 클릭을 구매로 전환! 신규 ASIN을 위한 성장 전략
📌신규 ASIN 런칭 시 가장 큰 실수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대표님. 잘 지내셨나요? 지난주 저는 아마존 행사인 액셀러레이트 2025 시애틀에 출장을 다녀왔어요. 그리고 세션들을 들으며 월간보표의 구독자 대표님들에게 전해드리기 위해서 정리해둔 내용을 오늘 이렇게 특집으로 발송해드리려고 해요!

첫 번째 소식으로는 아마존 Accelerate 2025 컨퍼런스 내용 중 '클릭을 구매로 전환: 신규 ASIN을 위한 성장 전략' 세션의 내용을 가져왔어요. 신제품을 런칭하고 광고를 시작할 때 많은 셀러분들이 어려움을 겪으시는데요.

어떤 ASIN을 광고해야 할지, 다양한 광고 상품과 설정은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질 때가 많죠.   이번 세션에서는 8년 경력의 아마존 광고 전문가 레베카(Rebecca)와 업계 전문가 패널 샨샨(Shan Shan) 그리고 브래들리(Bradley)가 신제품 런칭과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인사이트를 공유했어요.   과연 신규 ASIN 광고 시 저지를 수 있는 가장 큰 실수는 무엇이고, 어떻게 성공적인 런칭을 이끌어낼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그 핵심 내용을 함께 살펴보시죠.

🟣1-1. 런칭 전,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 가장 큰 실수는 ‘준비되지 않은’ 런칭!

가장 큰 실수는 바로 ‘소매 판매 준비(Retail Ready)’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광고를 시작하는 것이에요. 많은 셀러들이 자신의 제품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고객들이 수백, 수천 가지 방식으로 제품을 검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곤 해요.  

  • 키워드 리서치의 중요성: 제품 리스팅에 관련 키워드가 충분히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고객들이 검색해도 제품이 노출되지 않고, 스폰서 광고 또한 진행할 수 없어요.

  • 광고 소재 테스트: 런칭 전, 어떤 메인 이미지가 가장 높은 클릭률(CTR)을 가져올지 테스트하는 것이 중요해요. 힐리움10과 같은 툴을 활용하면 아마존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미리 테스트해볼 수 있어요.

  • 가격 전략: 리뷰가 없는 초기에는 경쟁 제품보다 높은 전환율을 얻기 위해 할인 쿠폰이나 특별 할인가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 바인(Vine) 프로그램 활용: 이제는 런칭 전에도 바인 프로그램을 통해 최대 30개의 리뷰를 확보할 수 있어요. 리뷰가 없는 상태에서 시작하는 것보다 훨씬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죠.

🟣1-2. 초기 광고,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 적은 예산으로 ‘될 놈’ 찾기!

  • 샨샨의 전략 (저가 상품 & 부트스트랩)

    • 핵심: 50달러의 예산으로 상위 20%의 판매를 이끌어낼 제품(위너)을 찾아내는 것이 목표.

    • 방법: 4개의 캠페인(자동 2개, 확장 2개)을 동시에 운영. 키워드 리서치를 통해 확신이 드는 캠페인에는 100달러, 그렇지 않은 캠페인에는 50달러의 예산을 설정.

    • 입찰가 설정: 제안 입찰가보다 약간 높게 설정하여(예: 32센트 -> 50센트) 초기 노출을 극대화.  

  • 브래들리의 전략 (다각화 & 자동화)

    • 핵심: 7~8개의 다양한 캠페인을 첫날부터 동시에 운영하여 모든 가능성을 테스트하고, 키워드를 지속적으로 수집(Harvesting).

    • 캠페인 구조:

      1. 수동(Exact): 가장 관련성 높은 핵심 키워드 타겟팅.

      2. 수동(Broad): 확장된 키워드 타겟팅.

      3. 자동(Auto): 새로운 키워드와 ASIN 발굴.

      4. 상품 타겟팅(ASIN): 경쟁사 제품 타겟팅.

      5. 스폰서 디스플레이 (상품 타겟팅): 다른 각도에서 경쟁사 제품 타겟팅.

      6. 스폰서 브랜드 비디오 (ASIN 타겟팅): 비디오 광고 활용.

      7. 스폰서 브랜드 비디오 (키워드 타겟팅): 비디오 광고 활용.

    • 자동화: 힐리움10과 같은 툴을 사용하여 자동 캠페인에서 전환이 발생한 키워드나 ASIN을 자동으로 수동 캠페인이나 다른 타겟팅 캠페인에 추가하도록 설정.

🟣1-3. 성장을 위한 다음 단계는?

📌 광고는 ‘한 번 설정하고 잊는 것’이 아니다!

광고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맞춰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해야 해요.  

  • 주기적인 성과 모니터링: 최소 일주일에 한 번은 ACoS, CTR과 같은 주요 지표를 확인하고 변화를 감지해야 해요.

  • 광고 소재 A/B 테스트: 스폰서 브랜드 비디오나 헤드라인 광고의 소재를 AI 툴 등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테스트하고, 가장 성과가 좋은 소재를 찾아내세요.

  • 키워드 순위 추적: 내가 타겟팅하는 키워드의 스폰서 순위가 떨어지지는 않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해요. 경쟁 셀러의 등장으로 순위가 밀려났다면, 입찰가를 조정하여 다시 상위 노출을 확보해야 합니다.

  • 모든 광고 유형 활용하기: 유기적 랭킹 1위를 달성했다고 해서 광고를 멈추면 안 돼요. 마치 모노폴리 게임에서 가장 좋은 땅을 모두 차지하는 것처럼, 검색 결과 페이지의 최대한 많은 공간(스폰서 브랜드, 스폰서 상품, 비디오 광고 등)을 점유하여 경쟁자의 노출 기회를 줄이고 내 제품의 판매 가능성을 높여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

  • 준비가 반이다: 광고를 시작하기 전에 리스팅 최적화, 리뷰 확보, 가격 전략 수립은 필수!

  • 테스트, 또 테스트: 적은 예산으로 다양한 캠페인을 테스트하여 가장 효율적인 '위너' 제품과 키워드를 찾아내세요.

  • 지속적인 관리: 광고는 살아있는 생물과 같아요. 시장과 경쟁 상황을 끊임없이 모니터링하고 데이터에 기반하여 유연하게 전략을 수정해야 합니다.

  • 부동산을 점령하라: 검색 결과 1페이지의 모든 광고 슬롯을 내 제품으로 채운다는 생각으로 공격적으로 마케팅하여 경쟁자의 진입을 막으세요.   신규 ASIN 런칭, 막막하게만 생각하지 마시고 오늘 소개해드린 전략들을 차근차근 적용해보세요. 대표님들의 성공적인 런칭을 월간보표가 응원합니다!

🏃

(이어서)

👇

🟣2. 데이터 기반 성장 전략으로 아마존 광고 ROI 극대화하기
📌핵심은 ‘현명한 지출’에 있습니다!

이번 소식은 아마존 Accelerate 2025 컨퍼런스의 '광고 ROI 극대화: 데이터 기반 성장 전략' 세션 내용이에요. 많은 셀러분들이 광고비를 무작정 늘려야 매출이 오른다고 생각하지만, 핵심은 ‘얼마나 쓰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현명하게 쓰느냐’에 있답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아마존 광고 전문가 아만다(Amanda)와 마얀카(Mayanka)가 광고 효율성을 분석하고 ROI를 개선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레임워크와 실용적인 팁들을 공유했어요.

우리 함께 광고 효율성을 측정하는 핵심 지표부터 알아보고, ROI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최적화 전략까지 하나씩 파헤쳐 볼까요?

🟣 2-1. ROAS, 이것만은 알고 가세요!

📌 나의 광고 효율성은 몇 점일까?

광고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지표는 바로 ROAS(Return on Ad Spend)ACoS(Advertising Cost of Sales)예요.

  • ROAS (광고 지출 대비 수익률)

    • 계산법: 광고를 통해 발생한 매출 ÷ 광고비

    • 의미: 광고비 1달러당 얼마의 매출을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요. 숫자가 높을수록 효율이 좋은 것이죠. 1보다 크면 이익, 1보다 작으면 손해라고 간단히 생각할 수 있어요.

  • ACoS (매출 대비 광고비 비율)

    • 계산법: 광고비 ÷ 광고를 통해 발생한 매출

    • 의미: ROAS와는 반대로, 매출 대비 광고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요. 이 수치는 낮을수록 효율이 좋은 것이랍니다.

이 두 지표를 꾸준히 추적하고 관리하는 것이 광고 ROI 개선의 첫걸음이에요.

🟣 2-2. 광고 ROI를 높이는 3가지 핵심 요소🚀

📌 전환율, 평균 판매가, 그리고 클릭당 비용!

ROAS를 높이기 위해 우리가 직접적으로 통제하고 개선할 수 있는 3가지 핵심 영역이 있어요. 바로 전환율, 평균 판매가, 그리고 클릭당 비용(CPC)입니다.

  • 전환율(Conversion): 광고 클릭을 실제 구매로 얼마나 잘 연결시키는가?

  • 평균 판매가(Average Pricing): 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어떠한가?

  • 클릭당 비용(Cost Per Click): 한 번의 클릭을 얻기 위해 얼마를 지불하고 있는가?

이 세 가지 요소는 리스팅 품질, 가격 전략, 타겟팅, 입찰 전략 등 다양한 세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아요. 결국, 이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최적화하는 것이 ROAS를 극대화하는 열쇠라고 할 수 있죠.

🟣 2-3. 아마존이 제공하는 최적화 툴 활용하기!

📌 데이터는 셀러 센트럴에 있습니다!

아마존은 셀러들이 광고 효율을 쉽게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셀러 센트럴 내에 다양한 툴을 제공하고 있어요.

  • 비즈니스 리포트 (Business Reports)

    • 경로: 셀러 센트럴 > 리포트 > 비즈니스 리포트

    • 핵심 기능: 최근에 베타 버전으로 출시된 ‘광고 효율성 저하(Low ads efficiency)’ 섹션에서는 ROAS가 낮은 ASIN을 아마존이 선제적으로 알려줘요. 어떤 제품부터 개선해야 할지 막막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곳이죠.

  • 제품 성과 스포트라이트 (Product Performance Spotlight)

    • 핵심 기능: 비즈니스 리포트에서 링크를 통해 바로 이동할 수 있으며, 특정 ASIN의 리스팅 품질가격 경쟁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해줘요.

    • 리스팅 품질: 제품 이미지나 비디오 추가, A+ 콘텐츠 활용 등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안해줘요.

    • 가격 분석: 상위 경쟁 제품들의 가격대와 내 제품의 가격을 비교 분석하여 가격 전략을 재검토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이 툴들을 활용하면 복잡한 계산 없이도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잡을 수 있답니다.

🟣 2-4. 상황별 타겟팅 & 입찰 최적화 전략

📌 문제점을 알았다면, 이제 해결책을 찾을 차례!

리스팅과 가격이라는 기본기를 다졌다면, 이제는 타겟팅과 입찰 전략을 통해 광고 효율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차례예요. 광고 효율이 낮은 경우는 보통 두 가지 시나리오로 나눌 수 있어요.

시나리오 1: 노출은 잘 되지만, 전환율이 낮은 경우

  • 타겟팅 전략:

    • 성과 좋은 키워드 집중: ROAS가 높은 키워드는 '정확히 일치(Exact Match)'로 추가하여 더 높은 구매 의도를 가진 고객에게 집중적으로 노출시키세요.

    • 성과 나쁜 키워드 중지: ROAS가 낮은 키워드는 과감히 '일시 중지(Pause)'하여 불필요한 광고비 지출을 막으세요.

  • 입찰 전략:

    • 동적 입찰 (상하향): 전환 가능성에 따라 아마존이 자동으로 입찰가를 조정하게 하여 효율을 높이세요.

    • 규칙 기반 입찰: 목표 ROAS를 직접 설정하여 캠페인이 해당 목표에 맞춰 운영되도록 할 수 있어요. (단,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캠페인만 사용 가능)

시나리오 2: 노출도, 전환율도 모두 낮은 경우

  • 타겟팅 & 입찰 전략 조합: 이 경우에는 두 가지 전략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에요.

    • 자동 타겟팅 캠페인 활용: 아마존의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새로운 키워드를 발굴하고, 수동으로 키워드를 찾는 수고를 덜 수 있어요.

    • 추천 키워드 & 키워드 그룹 활용: 아마존이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천하는 키워드나 테마별 키워드 묶음을 활용하여 도달 범위를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어요.

이처럼 내 캠페인의 현재 상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맞는 최적화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정리하자면… ⤵️

  • 숫자로 말하라: ROASACoS를 꾸준히 추적하여 광고 성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세요.

  • 기본에 충실하라: 광고 효율의 근간은 잘 만들어진 리스팅경쟁력 있는 가격입니다.

  • 아마존 툴을 100% 활용하라: 셀러 센트럴의 비즈니스 리포트제품 성과 스포트라이트는 광고 최적화를 위한 최고의 나침반입니다.

  • 진단하고 처방하라: 내 캠페인이 '노출 부족'인지 '전환 부족'인지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맞는 타겟팅 및 입찰 전략을 구사하세요.

데이터에 기반한 체계적인 접근법만 있다면, 대표님의 광고 ROI도 분명 눈에 띄게 개선될 수 있을 거예요. 월간보표가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이어서)

👇

Subscribe to keep reading

This content is free, but you must be subscribed to 아마존 셀러 뉴스레터 to continue reading.

Already a subscriber?Sign in.Not now

Reply

or to particip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