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 셀러 뉴스레터
- Posts
- 2025년 프라임데이 할인 신청 시작! 그 외 소식들!
2025년 프라임데이 할인 신청 시작! 그 외 소식들!

6.10.25. 84호 발행
한 주 동안 아마존 셀러가 눈여겨보면 좋을 소식과 핵심 내용들을 모아 전달해 드립니다. 이번 주에는 이런 일들이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대표님! 월간 보표 입니다!
6월 1번째 주 84호 뉴스레터
by 보표
📌오늘의 목차
또 하나의 1조 원짜리 브랜드 탄생! 공식이 바뀌고 있다
👉 헤일리 비버의 '로드', 이 성공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것은?아마존 검색창이 달라진다? 상세페이지를 보지도 않는 시대가 열릴지도...?
👉 ‘클릭’하지 않는 고객들, 완전히 새로운 게임이 시작됐다!아마존 POST는 이제 역사속으로...
👉 무료로 홍보할 수 있던 아마존 포스트는 이제 사라진다. 무엇을 의미할까?2025 프라임데이 할인 신청 시작!
👉기존 셀러라면 리마인드, 신규 셀러라면 지금 바로 등록하세요!프라임데이 코앞인데...아마존 창고 제한?
👉 FBA 재고 한도 축소, 의미하는 바는?아까운 내 재고, 그냥 버리기 전에 '재판매' 가능할까?
👉반품, 악성 재고 고민?! 제가 직접 다녀온 재고 처리 업체월마트 판매의 '게임 체인저' 등장? 드디어 이게 허용된다!
👉 이전에는 계정정지 각오해야 했던 그 방법!내 상품, 무조건 바이럴 시키는 법? (요즘 틱톡 셀러들은 이렇게 한다)
👉 제품만 보내는 시대는 끝! ‘바이럴 가이드’를 아시나요?"무엇을 아는가보다 누구를 아는가가 중요하다”
👉 보표의 1% 북클럽! 오늘의 페이지! <'당신은 사업가입니까-캐럴 로스'>
Find out why 1M+ professionals read Superhuman AI daily.
In 2 years you will be working for AI
Or an AI will be working for you
Here's how you can future-proof yourself:
Join the Superhuman AI newsletter – read by 1M+ people at top companies
Master AI tools, tutorials, and news in just 3 minutes a day
Become 10X more productive using AI
Join 1,000,000+ pros at companies like Google, Meta, and Amazon that are using AI to get ahead.
🟣1. 또 하나의 1조 원짜리 브랜드 탄생! 공식이 바뀌고 있다?
📌헤일리 비버의 ‘로드’, 이 성공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것은?
안녕하세요, 대표님.
84호 뉴스레터 첫 소식이에요. 이번 주, 또 하나의 메가톤급 소식이 터졌는데요! 바로 헤일리 비버의 뷰티 브랜드 ‘로드(Rhode)’가 무려 10억 달러(약 1조 3천억 원)에 매각되었다는 소식이에요. 이로써 ‘주목도’와 ‘팬덤’을 핵심 자산으로 활용하는 크리에이터 브랜드 성공 신화에 또 하나의 이름이 추가되었어요.
정말 놀라운 점은 로드가 출시된 지 불과 3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사실이에요. 시장 격차를 분석하고 공급망을 혁신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아니었어요. 대신, 이미 확보된 거대 고객층(팔로워)을 활용해 성공 방정식을 아예 새로 써버린 거죠.
“기존의 성장 경로를 단축시켰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실까요?
🟣1-1. 전통 이커머스의 종말? 게임의 룰이 바뀐다
📌 ‘알고리즘’이 아닌 ‘팬덤’으로 승부하는 시대
기존의 이커머스 성공 공식은 예측 가능했어요.
시장에서 빈틈을 찾고 (시장 격차 파악)
제품을 개발해서
아마존 같은 마켓플레이스의 검색 알고리즘에 맞춰 최적화하고
효율적인 광고와 물류로 확장하는 방식이었죠.
2022년 6억 3천만 달러에 매각된 ‘히어로 코스메틱스’나, 아마존에서 10억 달러 매출을 올린 ‘앤커(Anker)’가 바로 이 교과서적인 성공 사례예요.
하지만 로드(헤일리 비버), 스킴스(킴 카다시안), 카일리 코스메틱스(카일리 제너) 같은 크리에이터 브랜드들은 이 공식을 완전히 뒤집어 버렸어요. 그들에게 마켓플레이스는 ‘고객을 발견하는 곳’이 아니라, 이미 확보된 고객에게 ‘물건을 보내주는 유통 채널’일 뿐이라는 전혀 다른 전제에서 출발하죠.
헤일리 비버의 인스타그램 팔로워 5,500만 명은 아마존에서 검색하다 로드를 발견한 게 아니에요. 첫 제품이 나오기도 전에 이미 구매할 준비가 되어 있었던 거죠!

🟣1-2.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에 의존이 힘들어지는 이유
📌 ‘수수료와 광고비’, 승자 없는 전쟁
최근 몇 년 사이, 아마존 같은 마켓플레이스에서 고객에게 도달하는 비용은 상상 이상으로 비싸졌어요. 기존 셀러들은 매출의 50% 이상을 수수료와 광고비로 플랫폼에 지불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죠.
심지어 아마존은 최근에 무료로 노출을 할 수 있는 아마존 포스트 같은 서비스도 종료하며 유기적 검색(무료 노출) 의 기회들을 많이 축소하고 있어요. 결국 이런 구조에서 ‘광고비 태우기’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구조로 변하고 있는데요. 아마존 뿐만 아니라 마켓 플레이스들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요.
그러나 크리에이터 브랜드는 이 피 튀기는 과정을 완전히 건너뛰게 되는거죠. 인스타그램 포스팅, 틱톡 영상, 유튜브 콘텐츠 같은 ‘자체 미디어’를 통해 고객과의 관계를 먼저 형성하니까요.

gurunanda.official
🟣1-3. 콘텐츠가 곧 매출로 연결되는 요즘
📌 ‘발견’은 틱톡에서, ‘결제’는 아마존에서
이러한 변화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곳이 바로 틱톡샵(TikTok Shop)이에요. 틱톡샵에서는 ‘검색’이 아니라 ‘콘텐츠’가 매출을 만들거든요.
‘GuruNanda’의 풀링 오일이 대표적인 사례예요. 이 제품은 입소문 콘텐츠 하나로 틱톡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그 기세로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까지 차지했죠. 주목받는 브랜드는 기존 시장의 규칙을 따르지 않고도 시장을 지배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셈이에요.
이 브랜드들의 공통점은 제품 혁신이나 공급망 효율성이 아니에요. 바로 ‘고객과의 이미 형성된 관계’ 그 자체입니다. 기존 셀러들의 발목을 잡던 막대한 고객 확보 비용을 처음부터 절감하고 시작하는 거죠.
🟣 정리하자면… ⤵️
전통 방식: 제품 개발 → 마켓플레이스 최적화 (알고리즘 경쟁)
크리에이터 방식: 팬덤 형성 → 제품 출시 → 마켓플레이스는 유통 채널로 활용
현실: 아마존 등 플랫폼의 수수료/광고비는 계속 오르고, 중국발 저가 공세에 국내 셀러들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습니다.
핵심: 크리에이터 브랜드는 이 구조를 우회해 수조 원의 가치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제 질문은 명확해졌습니다. 플랫폼이 짜놓은 비싼 게임의 룰 안에서 계속 경쟁할 것인가, 아니면 플랫폼을 뛰어넘는 나만의 고객 관계를 구축할 것인가?
로드의 성공은 ‘관심 경제’ 시대에 고객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얼마나 강력한 무기인지, 그리고 마켓플레이스에 대한 의존성을 ‘선택 사항’으로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요.
한국 셀러분들의 새로운 생존 전략을 잘 고민해봐야 해요. 이제는 이커머스에서 브랜드로서 고객을 먼저 형성한 다음에 뛰어드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한 사실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이면서 말이죠!
🏃
(이어서)
👇

출처: billiondollarsellers 뉴스레터
🟣2. 아마존 검색창이 달라진다? 상세페이지는 어떻게 되는가?
📌’클릭’하지 않는 고객들, 완전히 새로운 게임이 시작됐다!
대표님돌 아마존 쇼핑객들의 행동 패턴, 다들 이렇게 알고 계셨죠?
"일단 검색하고 → 쓱 훑어보고 → 관심 가는 상품을 ‘클릭’한다."
이제 이 공식은 과거의 유물이 될지도 모르겠어요. 🫠
아마존의 최신 AI ‘루퍼스(Rufus)’가 업데이트되면서, 고객들은 이제 상품 상세페이지(PDP)를 클릭할 필요조차 없어졌기 때문이에요. 이미지, 리뷰, Q&A, 주요 기능, 심지어 과거 가격 이력까지… 모든 것을 검색 결과창에서 바로 탐색할 수 있게 된 거죠.
전문가 앤드류 벨(Andrew Bell)은 이걸 단순한 기능 개선이 아니라 ‘행동의 혁명’이라고 부르고 있는데요. 최근 케빈 킹 뉴스레터에서도 이 부분을 다루었는데 핵심 포인트를 알려드릴게요!
🟣2-1. ‘클릭 전’에 결정되는 것들
📌 6가지 어떤 부분들을 변화했을까?
기존
“상품 비교는 클릭해서 할 거야.”
현실: 루퍼스가 채팅창에서 경쟁 상품과 나란히 비교 분석표를 보여줍니다.
셀러 대응 전략: 불렛 포인트와 A+ 콘텐츠를 AI가 분석하기 쉽게, 장점 위주로 명확하게 작성하세요.
기존
“이미지는 상세페이지에 들어와서 보겠지.”
현실: 루퍼스가 이미지를 채팅창 대화에 바로 끌어와 보여줍니다.
셀러 대응 전략: 이미지를 단순한 상품 사진이 아닌 ‘질문에 대한 시각적 답변’으로 활용하세요. 사용법, 실제 사이즈, 핵심 장점을 명확히 보여줘야 합니다.
기존
“Q&A는 페이지 깊숙이 묻혀있잖아.”
현실: 더는 아닙니다. 루퍼스는 Q&A를 검색 결과 앞단으로 바로 추출합니다.
셀러 대응 전략: 고객이 실제로 할 법한 자연스러운 질문과 답변으로 Q&A를 미리 채워두세요. 잠재적인 불만 사항에 대한 답변도 미리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
“리뷰는 클릭해야만 볼 수 있어.”
현실: 루퍼스가 검색 페이지에서 고객 리뷰를 직접 인용해 보여줍니다.
셀러 대응 전략: 긍정 리뷰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칭찬 패턴을 부각시키세요. 최고의 리뷰는 상단에 고정하고, 당신의 평판이 어떻게 ‘미리보기’ 될지 관리해야 합니다.
기존
“과거 가격은 고객이 모를 거야.”
현실: 루퍼스는 “어라, 이 상품 지난달엔 20달러 더 저렴했네요?”라고 직접 알려줄 수 있습니다.
셀러 대응 전략: 예측 불가능한 가격 정책은 피하세요. 들쭉날쭉한 가격은 AI 시대에 신뢰를 파괴하는 지름길입니다.
기존
“A+ 콘텐츠는 일단 들어와야 효과가 있지.”
현실: 루퍼스는 A+ 콘텐츠를 조각내어 고객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활용합니다.
셀러 대응 전략: AI가 읽고 이해하기 쉽도록, 명확한 ‘모듈형’으로 A+ 콘텐츠 구조를 설계하세요.

🟣 정리하자면… ⤵️
이제 검색 결과 페이지(SERP)는 단순 목록이 아닌 ‘대화형 쇼핑 도우미’입니다.
모든 승부는 ‘클릭 전’에 결정되어 질 수 있습니다.
대표님은 리스팅을 ‘페이지’가 아닌, AI가 언제든 질문하고 답을 얻어갈 수 있는 ‘라이브 데이터베이스’처럼 취급해야 합니다.
포인트는 아마존 쇼핑 에이전트 RUFUS 가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리스팅에 애매모호한 표현을 피하고 직관적인 표현을 아마존의 정책 허용범위 안에서 잘 적용하고 평소 고객이 궁금할만한 내용들을 QNA라던지 리스팅 불렛 포인트 그리고 이미지에도 잘 넣는것이 포인트 되겠어요!
아마존이 정말 신경 많이 쓰고있는 쇼핑 에이전트 RUFUS 과연 어디까지 발전할까요? 계속 월간보표에서 알려드릴게요!
🏃
(이어서)
👇
Reply